[3월]”문명은 충돌하는가”3/28(수) 월례회 강연요지

2007-03-19 165

【민변강연요지】
   2007.3.28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문명은 충돌하는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Ⅰ. 문명담론은 시대의 화두
◆ 문명담론사
    # 근대적 문명담론: 18세기 문명이란 개념이 출현한 이래 담론이 시작되어 19세기 중엽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의 ‘문화진화론’과 말엽의 ‘문명이동론’, 20세기 전반의 ‘문명순환론’으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확대, 그 내용은 주로 정형화된 구조로사의 문명 자체의 변화나 성장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일방적인 이동에 관한 담론
    # 현대적 문명담론: 20세기 후반 탈냉전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‘지구촌시대’가 예단되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서 ‘오리엔탈리즘’과 ‘문명충돌론’, ‘문명공존론’, ‘문명교류론’이 대두, 그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내용은 주로 문명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담론

◆ 문명담론은 시대의 화두, 그 역사적 배경(근거):
    ▶ 문명에 의한 새로운 대안과 해법의 모색— 서구문명중심주의가 빛을 바래면서 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명간에는 타문명을 발견하고 이해하려는 ‘문명타자론(文明他者論)이 대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두되어 문명 인식이 균형을 잡아감, 이 과정에서 종래의 인류문제 해법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에 대한 회의론이 일면서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해법으로서의 ’문명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안론(文明代案論)’이 제시
    ▶ 문명 의존도의 상승과 그 중요성의 증대— 다문명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다양한 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명이 양산됨으로써 문명은 전례 없이 보편화․평준화되고, 인간적인 삶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의 척도는 문명의 향유 여하에 달려있으며, 문명은 특정집단의 전유물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이 아니라 사회의 공유물로서 대중성을 띠면서 무한대로 확장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Ⅱ. 문 명 충 돌 론
◆ 역사적 배경
    # 냉전체제 붕괴 후 세계질서 변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대안의 모색
    # 문명담론의 필연적 결과— 문명 상호관계에 관한 일종의 담론으로 제시

◆ 제시와 내용
    # 제   시— 미국의 안보전략가인 헌팅턴(S.P.Huntington)은 1993년 여름 『국제정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세』(Foreign Affairs)지에 게재한 논문 「문명의 충돌 ?」에 이어 발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한 몇 편의 논문들을 한데 묶어 1996년에 『문명의 충돌과 세계질서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재편』(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Order)이란 책을 출간, 그의 ‘문명충돌론’을 개진
    # 기본내용— 오늘의 탈냉전시대에는 지금까지 부상되지 않고 있던 정치나 경제 외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적 가치인 역사나 조상, 언어, 종교 같은 문명적 요소와 그 불가피한 충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돌이 세계를 움직여가는 핵심변수가 된다는 이론
         ※ 키신져 : “서구정치학계의 태두 새무엘 헌팅턴은 이 책을 통해 21세기 세계정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치의 현실을 포착하는 강력한 해석들을 제시하고 있다. 『문명의 충돌』은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냉전 이후 발간된 책들 중 가장 중요한 전문서적이다.”

◆ 근본오류
    1) 복합적인 문명 개념을 단순한 가치체계로 축소․단순화
         — 주로 종교가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종교가치체계로 축소․단순화하고 종교를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일차적 기준으로 문명을 유형화
         — 혼란한 문명 유형화: 93년 글에서는 ①기독교, ②정교, ③이슬람교, ④유교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⑤불교, ⑥힌두, ⑦아프리카(비이슬람), ⑧일본으로, 그러나 96년 책에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는 ①중화, ②일본, ③힌두, ④이슬람, ⑤정교, ⑥서구, ⑦라틴아메리카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⑧아프리카로 다르게 분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유교문명을 ‘중화’(Sinic)문명으로 개칭하고 해외 화교공동체와 베트남, 한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국을 포함시킴으로써 역사의 퇴물이 된 ‘중화’ 개념을 부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기독교문명을 ‘서구문명’과 ‘라틴아메리카문명’으로 인위적 2분화
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불교는 탄생지 인도에서 소멸되고 중국과 일본 등지에서 토착문화에 통합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되어 ‘거대문명의 바탕’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문명권에서 제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기상천외하게도 일본문화의 ‘특수성’과 ‘독자성’을 들어 일본을 하나의 문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권으로 설정, 이것은 일본의 ‘탈아입구(脫亞入歐)’ 정서를 반영
    2) 문명간의 차이를 문명 본연의 ‘충돌’인양 착각하고 문명간의 상생(相生)관계를 상극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相剋)관계로 오도. 그의 문명상극논리의 근거는: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① 문명간의 이질성— 문명간의 차이는 근본적이고 문명간의 ‘상호작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용’(교류)은 상호차이를 강화하며 문화적 차이는 정치나 경제, 이념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의 차이보다 변하기 어려움, 따라서 이질문명간의 관계는 절충이나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조화가 불가능한 ‘이것 아니면 저것’이라는 수화불상용적 상극관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② 분쟁의 보편성— ‘증오는 자연스러운 인간의 감정’, ‘사람들이 스스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로를 정의하고 행동욕구를 느끼기 위해서는 적이 필요하다’; 국제적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무역이나 교류는 서로의 유대나 협조가 아닌 분열과 갈등을 야기
    3) 지구촌의 분쟁을 숙명화
              — 각이한 문명이 존재하는 한 충돌은 불가피하여 문명은 항시 각축장일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수밖에 없으며, 따라서 지구촌의 분란은 당위적이고 숙명적
              — ‘충돌론’에 허구적 2중 잣대를 적용: ‘충돌’ 여부는 문명 본연에 기인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는 것이 아니라 서구와의 정치적 역학관계에 의해 좌우된다고 설파; 자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존심과 도전의식이 강한 이슬람과 중화문명, 그리고 그들 간의 제휴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가장 큰 위협이므로 여타 6개 문명권은 합종연횡(合縱連衡)해 대응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것을 주장, 이것이 ‘충돌론’의 본질과 목적

◆ 헌팅턴의 이슬람문명관
    # 이슬람문명관— 책의 상당부분을 할애해 폭력적(호전적) 문명으로 오도하면서 기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교문명과의  ‘충돌’ 불가피성을 역설
    # 폭력성 원인— ① 검을 앞세운 종교, ② 타종교와의 화합 불능성, ③ 강한 자존심,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④ 갈등을 조정할만한 핵심세력의 부재, ⑤ 인구 격증 등
    
             Ⅲ. 이슬람문명과 기독교문명은 ‘충돌’아닌 상생문명
◆ 이슬람교는 평화의 종교
    # 교  리— 근본교리: ‘신은 오로지 알라뿐이며, 무함마드는 알라가 보낸 사람’
             — 교리내용: 6신(信, 믿음) 5행(行, 의무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6신: ①알라의 유일성, ②천사, ③경전들, ④예언자들, ⑤내세, ⑥정명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5행: ①신앙고백, ②예배, ③자카트(종교부금), ④금식, ⑤성지순례
    # 평화이념— 평화를 지향하고 종교의 강요를 배제하며 신앙의 자유를 강조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“종교에는 강제가 없나니 이성은 미로에서 스스로 밝혀지느니라”(2:256)
    # 평화적 전파— ‘한손에 꾸르안, 다른 한손에 검’은 13세기 토마스의 조작
    # 성선설(性善說)— 인간은 원래 착한 존재로서 무모한 고행이나 죽음 반대, 즐거운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삶 추구, 『하디스』(무함마드의 언행록) : “인간은 순수결백하게 태어난다”,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“오래 살고 좋은 일을 많이 한 사람이 최상의 인간이다”, “범죄자도 죽음을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원하지 말라”
    # 자실테러행위— 이슬람 본연의 행위가 아니라, 소수 과격파들의 정치적 충동

◆ 이슬람교의 관용성
    # 타종교에 대한 포용성— 다른 종교의 경전과 예언자들을 신앙으로 신봉하고 경배
    # 종교의무 수행에서의 융통성— 금식과 성지순례에서의 융통성
    
◆ 이슬람교와 기독교는 친연종교
    # 친연성— ① 혈연, ② 지연(地緣), ③교연(敎緣)
    # 상이점— ① 교조의 신인성(神人性), ② 성직자관, ③ 인생관(원죄관과 성선관),  ④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창조관; 이러한 상이점이 ‘충돌’의 원인이 될 수 없음, 일부에서 ‘충돌’의 원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인(遠因)을 700년 전의 십자군원정으로 소급, 십자군원정은 종교를 명분(구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실)으로 진행된 이슬람세계와 신흥유럽세력 간의 지중해 일원에 대한 정치적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패권과 경제적 이권 다툼이지 결코 오랫동안 공생공영해 온 두 종교, 두 문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명 간의 대립이나 ‘충돌’은 아님
    # 유럽중심주의적 역사서술체계— ‘서양사’ 서술체계에서 이슬람에 대해 아전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수격의 2중적 역사서술

맺음말: 문명은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상생 속에 상보상조하면서 보편문명을 지향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=== 끝 ===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첨부파일

clip_image002.jpg.jpg